생각만큼 부지런히 포스팅이 진행되지는 않지만 그래도 3차시 포스팅 시작.
집에 사용하지 않는 PC를 서버로 사용하려던 와중에 24시간 실제로 서비스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어 AWS나 Cafe24를 알아보게되었다.
이번 게시판 프로젝트에는 Cafe24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1년동안은 무료인점이 매력적인 AWS를 먼저 사용해보려한다.
서버 OS는 일단 익숙한 Window를 사용한다.
[목록]
- AWS생성 및 필수 설정
아래는 아마존 웹 서비스 계정을 생성 후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계정 생성 과정은 제외)
1. 로그인 후, 콘솔에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AWS 서비스 화면으로 들어간다.

2. 가상머신 시작 버튼을 눌러 가상머신 세팅을 시작한다. 이때, 오른쪽 지역은 서울로 맞춘다.

3. 설치할 인스턴스 OS를 선택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윈도우를 사용하기로 했으므로 Window를 선택한다.

4. AWS를 무료로 사용하는 프리 티어(Free Tier)이므로 기본 선택된 사항으로 두고 검토 및 시작을 클릭한다.

5. 인스턴스 생성 전, 인스턴스 접속에 필요한 키페어를 다운받는다.
키페어는 인스턴스 접속에 꼭!꼭! 필요하므로 안전한 곳에 다운 받아두고 꼭 메모해둔다.

6.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다며 인스턴스id를 링크해주는데,
그 전에 AWS를 사용하다가 요금폭탄을 맞았다는 이야기를 종종 들어서 결제 알림을 하나 설정하고 진행하도록 한다.

6-1. 오른쪽 상단 계정명을 누르고 결제 관련 메뉴인 '내 결제 대시보드'를 선택한다.

6-2. 왼쪽 메뉴의 '기본 설정'을 선택하고 "결제 알림 받기"에 체크 후 설정을 저장한다.
그리고 결제 알림 받기 설정 부분의 "결제 알림 관리" 링크를 클릭한다.

6-3. 왼쪽 메뉴 '경보'의 하위메뉴 중 '결제'란을 선택하고 경보를 생성한다.

6-4. 얼마를 초과하면 결제 경보를 메일로 받을것인지를 설정하는 modal이다. 설정 후 경보 생성 버튼으로 알림을 생성한다.

6-5. 알림을 받을 메일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위에 적은 메일 주소로 확인 메일이 발송되었으니 읽고 확인해야한다.

6-6. 아래는 발송메일로 Confirm subscription 링크를 클릭하면 그 아래와 같은 확인 화면이 조회된다.

▼ Confirm subscription 링크 결과

6-7. 메일 주소가 확인되었다며 경보 보기 버튼이 활성화된다.

6-8. 설정한 경보 목록이 조회된다.
혹시나 프리 티어 제공 월 750시간 이상을 사용하여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설정해둔 알림대로 1달러라도 초과하게되면 위 메일로 알림이 올 것이므로 요금 폭탄을 맞을 걱정은 없다.

7. 계속해서 인스턴스를 설정한다. 6번에서 인스턴스ID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같이 인스턴스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제 5번에서 다운로드 해둔 키페어로 연결을 설정해본다.

8. 암호 가져오기를 클릭한다.

9. "파일 선택"을 클릭하여 5번에서 안전한 곳에 다운받아 놓은 키페어 pem 파일을 찾아 연다.

10. pem파일을 열면 자동으로 텍스트 Area에 pem파일이 복사되고, 암호 해독을 통해 암호를 생성하며 이전화면으로 돌아간다.

11. "원격 데스크톱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받은곳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한다.

12. 10번에서 해독된 암호를 복사해서 password에 붙여넣는다.

13. 익숙한 윈도우 바탕화면의 AWS인스턴스가 생성되었다.

(+) 보안을 위해 설정을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연습용 서버이므로 이 인스턴스를 어느곳에서나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후 DB설정과 서버설정을 완료 하면 해당 인스턴스의 접속에 제한을 둘 예정이다.
오늘은 앞으로 서버를 사용할 AWS(Amazon Web Service) 가상 머신을 생성해 보았다.
앞으로 1년간의 프로젝트에 사용 될 예정이라 틈나는대로 기능이나 설정법을 확인해 볼 생각이다.